본문 바로가기

서양철학2

루소의 <사회 계약론>에 대한 짧은 정리 홉스의 자연상태가 사람에 치여 괴로운 상태였던 것에 반해, 루소의 자연상태 속 인간들은 본질적으로 각자 독립된 상태다. 자연상태의 인간들은 '자연적으로 평등'했다. 이때 평등은 홉스와 같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것이 아니라, 자연으로부터 자신을 인도하기에 충분한 이성을 부여받았기에 다른 누군가가 자신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타인을 자신의 권위에 복종시키나 자신의 의지를 타인에게 강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천부인권’이라고 부르는 이 루소의 자유와 평등 사상에서 어째서 그가 프랑스 혁명의 단초가 되었는지를 눈치 챌 수 있겠다. 의 1부에서 서술되는 평화로운―정확히 말하자면 서로 무관심한 채 각자의 생활을 영위하던―자연상태의 인간들이 어째서 불평등, 이익대립, 전제정치, 인간소외.. 2023. 2. 20.
대륙 이성론에 관한 몇 가지 노트 1. 대륙 이성론에서 인간 이성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아퀴나스는 믿음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이성을 아래에서부터 위로라고 말하며 믿음과 이성이 맞닿을 수 있다고 믿었지만, 스코투스와 오캄과 같은 중세 후기로 넘어오면서 믿음의 영역과 이성의 영역은 완전히 구분되기 시작하면서, 이성(철학)은 믿음(신학)의 영역에 개입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이는 곧 믿음이 이성의 영역에 침범할 수 없게 되는 일과 마찬가지여서 신학의 시녀였던 철학이 신학으로부터 독립하게 되었다. 중세시대의 몰락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이성의 올바름은 신이 담보해주던 것 아니었는가? 신이 인간에게 본유관념으로 넣어준 이성에 의해 우리는 올바른 인식이 가능했다. 피창조물로서의 유한자인 인간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해.. 2023. 2. 20.